[에이블뉴스] ‘발달장애인 자립과 권리 위한 외침’ 다시 국회 앞 모인 부모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5-04-22
본문
전국장애인부모연대는 21일 오후 1시 국회의사당역 앞에서 ‘장애인차별철폐의 날 전국집중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전국집중결의대회 이후 각 정당에 요구안을 전달하기 위해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당사로 행진을 진행했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에이블뉴스 백민 기자】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 보장과 권리예산 확보를 촉구하는 발달장애인 부모들의 목소리가 여의도를 가득 메웠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이하 부모연대)는 21일 오후 1시 국회의사당역 앞에서 ‘장애인차별철폐의 날 전국집중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결의대회에서 부모들은 ‘사회 대개혁,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의 권리가 보장되는 사회’를 주제로 장애인의 자립권 보장과 사회적 권리 확대를 촉구했다.
특히 울산 태연재활원 집단학대 사건을 언급하며 장애 자녀들이 더 이상 시설에서 고통받지 않고 지역사회에서 안전하고 존중받으며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력히 요구했다.
이를 위해 부모연대는 장애 자녀의 자립과 주거생활을 지원하는 주거생활서비스 제도 1만 명 도입을 비롯해 발달장애인 예산을 추경하고 발달장애인 정책을 반영하라고 목소리 높였다.
정책요구안에는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 및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전부개정과 함께 교육·고용·보건·복지에 관한 정책요구가 담겼다.
구체적으로 ▲특수학급 설치 의무화, 1교실 2교사제 도입, 통합학급 정원 감축, 행동 지원 강화 등 ‘모두를 위한 평등한 교육체계 수립’ ▲표준사업장 확대설치 의무화, 자기주도급여형 일자리 확대, 발달장애인 훈련센터 증설, 잡코치 제도 도입 등 ‘발달장애인 일자리 확대’ ▲의료수가 개선, 장애인 전담 의료창구, 건강검진사업, 의료지원 활동추가급여, 발달재활치료비 건강보험 급여 및 간호간병통합병원 지원 등 발달장애인의 건강권 확보에 대한 내용이다.
특히 대선과 총선을 앞둔 시점에서 발달장애인 정책이 주요 정당의 공약과 국정 운영에 반영될 수 있도록 각 정당에 요구안을 전달하기 위해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당사로 행진을 전개했다.
국회의원들도 부모들의 절박한 목소리에 힘을 실어주었다. 더불어민주당 강선우·남인순 의원, 국민의힘 김예지·최보윤 의원들은 전국집중결의대회에 참석해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과 정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부모연대 윤종술 회장은 “부모들은 우리의 이야기를 들으라고 목소리를 높여 외치고, 삭발을 하고 삼보일배를 했다. 하지만 국가와 지자체는 우리 이야기를 귀담아듣지 않는 것 같다. 정부는 더 이상 발달장애인과 가족의 참혹한 삶을 내버려 둬서는 안 된다”고 외쳤다.
이어 “6월 3일 우리나라가 새 대통령을 선출한다. 누가 대통령이 되든 당선자는 발달장애인 국가책임제 반드시 실행해야 한다”면서 “국가와 지자체가 나서서 가족의 독박 돌봄을 해소하고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도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나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부모연대 이정근 부회장은 “우리의 염원으로 통과한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및 주거전환 지원에 관한 법률안’이 큰 반대에 부딪혔다고 한다. 아이 하나를 키우기 위해서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말을 다들 알 것이다. 그런데 그 마을이 시설이어서 되겠는가”라고 꼬집었다.
이어 “부모연대는 부모의 힘으로 세상을 바꾸자는 마음으로 아이들의 권리, 가족들의 권리를 조금씩 찾아왔지만, 우리의 삶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며, “하지만 발달장애인들이, 아이들이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시 한번 발걸음을 내디딘다. 발달장애인과 가족이 사람다운 삶을 살 수 있도록 함께 해달라”고 강조했다.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에이블뉴스 백민 기자】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 보장과 권리예산 확보를 촉구하는 발달장애인 부모들의 목소리가 여의도를 가득 메웠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이하 부모연대)는 21일 오후 1시 국회의사당역 앞에서 ‘장애인차별철폐의 날 전국집중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결의대회에서 부모들은 ‘사회 대개혁,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의 권리가 보장되는 사회’를 주제로 장애인의 자립권 보장과 사회적 권리 확대를 촉구했다.
특히 울산 태연재활원 집단학대 사건을 언급하며 장애 자녀들이 더 이상 시설에서 고통받지 않고 지역사회에서 안전하고 존중받으며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력히 요구했다.
이를 위해 부모연대는 장애 자녀의 자립과 주거생활을 지원하는 주거생활서비스 제도 1만 명 도입을 비롯해 발달장애인 예산을 추경하고 발달장애인 정책을 반영하라고 목소리 높였다.
정책요구안에는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 및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전부개정과 함께 교육·고용·보건·복지에 관한 정책요구가 담겼다.
구체적으로 ▲특수학급 설치 의무화, 1교실 2교사제 도입, 통합학급 정원 감축, 행동 지원 강화 등 ‘모두를 위한 평등한 교육체계 수립’ ▲표준사업장 확대설치 의무화, 자기주도급여형 일자리 확대, 발달장애인 훈련센터 증설, 잡코치 제도 도입 등 ‘발달장애인 일자리 확대’ ▲의료수가 개선, 장애인 전담 의료창구, 건강검진사업, 의료지원 활동추가급여, 발달재활치료비 건강보험 급여 및 간호간병통합병원 지원 등 발달장애인의 건강권 확보에 대한 내용이다.
특히 대선과 총선을 앞둔 시점에서 발달장애인 정책이 주요 정당의 공약과 국정 운영에 반영될 수 있도록 각 정당에 요구안을 전달하기 위해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당사로 행진을 전개했다.
국회의원들도 부모들의 절박한 목소리에 힘을 실어주었다. 더불어민주당 강선우·남인순 의원, 국민의힘 김예지·최보윤 의원들은 전국집중결의대회에 참석해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과 정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부모연대 윤종술 회장은 “부모들은 우리의 이야기를 들으라고 목소리를 높여 외치고, 삭발을 하고 삼보일배를 했다. 하지만 국가와 지자체는 우리 이야기를 귀담아듣지 않는 것 같다. 정부는 더 이상 발달장애인과 가족의 참혹한 삶을 내버려 둬서는 안 된다”고 외쳤다.
이어 “6월 3일 우리나라가 새 대통령을 선출한다. 누가 대통령이 되든 당선자는 발달장애인 국가책임제 반드시 실행해야 한다”면서 “국가와 지자체가 나서서 가족의 독박 돌봄을 해소하고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도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나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부모연대 이정근 부회장은 “우리의 염원으로 통과한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및 주거전환 지원에 관한 법률안’이 큰 반대에 부딪혔다고 한다. 아이 하나를 키우기 위해서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말을 다들 알 것이다. 그런데 그 마을이 시설이어서 되겠는가”라고 꼬집었다.
이어 “부모연대는 부모의 힘으로 세상을 바꾸자는 마음으로 아이들의 권리, 가족들의 권리를 조금씩 찾아왔지만, 우리의 삶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며, “하지만 발달장애인들이, 아이들이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시 한번 발걸음을 내디딘다. 발달장애인과 가족이 사람다운 삶을 살 수 있도록 함께 해달라”고 강조했다.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