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리어프리뉴스] 제26회 가치봄영화제, 내달 2일 개막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5-08-19
본문
(자료 : 가치봄영화제)
정하림 기자 : 제26회 가치봄영화제가 오는 9월 2일부터 5일까지 서울 롯데시네마 영등포에서 개최된다.
가치봄영화제 사무국은 18일 이번 영화제에서 상영될 총 31편의 작품 목록을 공개했다. 상영작은 장편 5편, 단편 26편으로 구성되며, 경쟁 부문과 비경쟁 부문, 제작지원 섹션, 수어영화 섹션 등 총 4개 부문에서 상영된다.
가치봄영화제는 장애를 소재로 하거나 장애인이 제작에 직접 참여한 작품을 상영하며, 모든 영화는 한글 자막과 화면 해설 혹은 수어 영상이 포함된 가치봄 버전으로 제공된다.
올해 개막작으로는 정성준·박동진 감독의 <봄의 언어>가 선정됐다. 수어를 사용하는 아이의 이야기를 따뜻한 시선으로 그린 이 작품은 어린 시절의 감정과 언어에 대한 성찰을 담았다.
PDFF경쟁 부문에서는 <모범상>, <새이와 도하>, <나의 자립 일지>, <부러지고 싶은 마음>, <탁란> 등 10편의 작품이 상영된다. 장애인의 자립, 우정, 심리적 갈등, 예술적 표현 등을 다양한 시각으로 조명한 작품들이 포함됐다.
장애인이 연출·연기 등 제작 전반에 참여한 '장애인미디어경쟁 부문'에서는 <어머니! 하늘빛이 어떻습니까?>, <까칠한 강래씨>, <우리의 자리> 등 총 10편이 상영된다.
비경쟁 섹션인 '가치봄 마주봄'에서는 <겨울의 빛>, <졸업사진>, <산행> 등 장애와 장애인을 새로운 시선으로 담은 작품 5편이 소개된다.
또한, 가치봄영화제의 사전 제작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완성된 <파랑의 파동>, <소우주>가 ‘제작지원 섹션’에서 상영되며, 수어 통역이 삽입된 ‘새로봄 수어영화’ 섹션에서는 <그녀에게>, <오월> 등 4편이 수어영화로 상영된다.
영화제 관계자는 “모든 상영작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관람할 수 있도록 자막과 음성 해설, 수어 통역이 포함된 버전으로 제공된다”며 “다양한 접근을 통해 장애를 다루는 예술의 확장성을 보여줄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 상영작과 프로그램 일정은 영화제 공식 홈페이지(https://www.pdff.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배리어프리뉴스(https://www.barrierfreenews.com)
정하림 기자 : 제26회 가치봄영화제가 오는 9월 2일부터 5일까지 서울 롯데시네마 영등포에서 개최된다.
가치봄영화제 사무국은 18일 이번 영화제에서 상영될 총 31편의 작품 목록을 공개했다. 상영작은 장편 5편, 단편 26편으로 구성되며, 경쟁 부문과 비경쟁 부문, 제작지원 섹션, 수어영화 섹션 등 총 4개 부문에서 상영된다.
가치봄영화제는 장애를 소재로 하거나 장애인이 제작에 직접 참여한 작품을 상영하며, 모든 영화는 한글 자막과 화면 해설 혹은 수어 영상이 포함된 가치봄 버전으로 제공된다.
올해 개막작으로는 정성준·박동진 감독의 <봄의 언어>가 선정됐다. 수어를 사용하는 아이의 이야기를 따뜻한 시선으로 그린 이 작품은 어린 시절의 감정과 언어에 대한 성찰을 담았다.
PDFF경쟁 부문에서는 <모범상>, <새이와 도하>, <나의 자립 일지>, <부러지고 싶은 마음>, <탁란> 등 10편의 작품이 상영된다. 장애인의 자립, 우정, 심리적 갈등, 예술적 표현 등을 다양한 시각으로 조명한 작품들이 포함됐다.
장애인이 연출·연기 등 제작 전반에 참여한 '장애인미디어경쟁 부문'에서는 <어머니! 하늘빛이 어떻습니까?>, <까칠한 강래씨>, <우리의 자리> 등 총 10편이 상영된다.
비경쟁 섹션인 '가치봄 마주봄'에서는 <겨울의 빛>, <졸업사진>, <산행> 등 장애와 장애인을 새로운 시선으로 담은 작품 5편이 소개된다.
또한, 가치봄영화제의 사전 제작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완성된 <파랑의 파동>, <소우주>가 ‘제작지원 섹션’에서 상영되며, 수어 통역이 삽입된 ‘새로봄 수어영화’ 섹션에서는 <그녀에게>, <오월> 등 4편이 수어영화로 상영된다.
영화제 관계자는 “모든 상영작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관람할 수 있도록 자막과 음성 해설, 수어 통역이 포함된 버전으로 제공된다”며 “다양한 접근을 통해 장애를 다루는 예술의 확장성을 보여줄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 상영작과 프로그램 일정은 영화제 공식 홈페이지(https://www.pdff.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배리어프리뉴스(https://www.barrierfre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