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 "기후 정책, 여성·농민·장애인 등 소수자 참여 확대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5-11-17
본문
▲지난 14일 내포신도시 충남공감마루에서 ‘2026년 지방선거 대응을 위한 기후거버넌스 토론회’가 열렸다. ⓒ 이재환 -충남환경운동연합 제공관련사진보기
최근 극단적 폭우와 가뭄이 반복되며 기후위기 시대라는 말이 점점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기후 위기 정책에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여성과 농민, 노동자 등 피해 당사자들의 참여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기후위기충남행동, 기후위기비상행동, 여성환경연대는 지난 14일 내포신도시 충남공감마루에서 '2026년 지방선거 대응을 위한 기후거버넌스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이안소영 여성환경연대 대표는 '성평등한 기후거버넌스를 위한 과제'를 제안했다. 국가와 지방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하기 전 단계에서부터 여성, 청년, 농민, 노동자 등의 사회적 소수자의 참여가 제도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여성과 농민 등이 기후위기 최대 피해자가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안소영 여성환경연대 "1991년 방글라데시 사이클론 사망자 90%, 2004년 수마트라 쓰나미 사망자 75%가 여성"이라며 기후위기 상황에 여성이 좀더 취약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엔디시)' 정책에 여성과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가 적극 반영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논의가 한창이다. 엔디시는 단순히 수치상의 감축률이 아니다"라며 "지난 여섯 차례의 '2035 엔디시 대국민 공개논의'는 성별 불균형이 심각했다. 총괄토론회 13명의 발제·토론자 중 여성은 단 2명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엔디시가 중요한 이유는 우리 모두의 미래가 달려 있기 때문"이라며 "폭우가 내렸을 때 생명에 위협을 받을 수 있는 반지하 거주민, 기후 위기를 겪고 있는 농민, 폭염에 취약한 야외 노동자, 재난 대비와 대피가 어려운 장애인 등의 목소리를 듣고 분석해야 제대로된 국가 정책을 마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미선 예산홍성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도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최악의 기후재난이 닥치면서 농촌의 어르신들까지 기후위기를 걱정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며 "하지만 일반 시민들의 생각이 (기후) 정책 결정에 반영되는 것은 어려운 구조(실정)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다음 지방선거가 아니더라도 각 지역별로 탄소 중립을 위한 활동을 지속해야 한다. (시민사회도) 긴 호흡으로 다양한 목소리를 (기후 정책에) 담고자 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지역 현황을 제대로 정리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선숙 기후위기 보령행동 대표도 "보령도 최근 바지락과 어류 폐사와 오천항 침수 피해 등 기후 변화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어민과 농민, 상인들의 피해가 계속되고 있다"라며 "이제는 지자체의 정책도 기후위기 관점에서 계획되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출처: 오마이뉴스 https://www.ohmynews.com/
최근 극단적 폭우와 가뭄이 반복되며 기후위기 시대라는 말이 점점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기후 위기 정책에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여성과 농민, 노동자 등 피해 당사자들의 참여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기후위기충남행동, 기후위기비상행동, 여성환경연대는 지난 14일 내포신도시 충남공감마루에서 '2026년 지방선거 대응을 위한 기후거버넌스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이안소영 여성환경연대 대표는 '성평등한 기후거버넌스를 위한 과제'를 제안했다. 국가와 지방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하기 전 단계에서부터 여성, 청년, 농민, 노동자 등의 사회적 소수자의 참여가 제도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여성과 농민 등이 기후위기 최대 피해자가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안소영 여성환경연대 "1991년 방글라데시 사이클론 사망자 90%, 2004년 수마트라 쓰나미 사망자 75%가 여성"이라며 기후위기 상황에 여성이 좀더 취약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엔디시)' 정책에 여성과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가 적극 반영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논의가 한창이다. 엔디시는 단순히 수치상의 감축률이 아니다"라며 "지난 여섯 차례의 '2035 엔디시 대국민 공개논의'는 성별 불균형이 심각했다. 총괄토론회 13명의 발제·토론자 중 여성은 단 2명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엔디시가 중요한 이유는 우리 모두의 미래가 달려 있기 때문"이라며 "폭우가 내렸을 때 생명에 위협을 받을 수 있는 반지하 거주민, 기후 위기를 겪고 있는 농민, 폭염에 취약한 야외 노동자, 재난 대비와 대피가 어려운 장애인 등의 목소리를 듣고 분석해야 제대로된 국가 정책을 마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미선 예산홍성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도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최악의 기후재난이 닥치면서 농촌의 어르신들까지 기후위기를 걱정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며 "하지만 일반 시민들의 생각이 (기후) 정책 결정에 반영되는 것은 어려운 구조(실정)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다음 지방선거가 아니더라도 각 지역별로 탄소 중립을 위한 활동을 지속해야 한다. (시민사회도) 긴 호흡으로 다양한 목소리를 (기후 정책에) 담고자 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지역 현황을 제대로 정리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선숙 기후위기 보령행동 대표도 "보령도 최근 바지락과 어류 폐사와 오천항 침수 피해 등 기후 변화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어민과 농민, 상인들의 피해가 계속되고 있다"라며 "이제는 지자체의 정책도 기후위기 관점에서 계획되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출처: 오마이뉴스 https://www.ohmynews.com/











